학술지

논문 작성 요령

[표현예술심리상담연구] 투고 논문 작성 양식

1. 원고 작성 개요

  • 가. 작성 도구: 한글 3.0 이상 프로그램으로 작성한다.
  • 나. 논문원고 용지

    (1) 용지 종류: 사용자 정의(190×260)

    (2) 용지 여백: 위쪽 18, 아래쪽 20, 왼쪽 26, 오른쪽 26, 머리말 10, 꼬리말 10, 제본 0

  • 다. 문단 모양 : 줄간격 170
  • 라. 글자 모양
글꼴 크기 장평 자간 문단정렬 비고
제목 신명조 18p 100 0 가운데 진하게
저자명 중고딕 10p 100 0 오른쪽 1줄 띄고
소속 신명조 9p 100 0 왼쪽
국문초록 중고딕 9p 95 -5 양쪽 1줄 띄고
줄간격 140
좌우여백 : 4
본문 신명조 11p 95 -5 양쪽
그림 중고딕 10p 95 -5 하단중앙
중고딕 10p 95 -5 왼쪽 상단
참고문헌 제목 견명조 14p 95 -5 가운데
참고문헌 내용 신명조 9p 95 -5 양쪽
영문초록 제목 신명조 14p 95 -5 가운데 진하게
영문초록 내용 신명조 9p 95 -5 양쪽
부록 제목 중고딕 14p 95 -5 가운데 진하게
부록 내용 신명조 10p 95 -5 양쪽
  • 마. 제목의 번호 붙임

    1단계: I. II. III. ...................... (2줄 띄고, 14p, 견명조, 가운데, 진하게)

    2단계: 1. 2. 3. ....................... (1줄 띄고 3칸에서 시작, 11p, 중고딕, 진하게)

    3단계: 가. 나. 다. .................. (1줄 띄고 3칸에서 시작, 11p, 신명조, 진하게)

    4단계: (1) (2) (3) .................. (1줄 띄고 4칸에서 시작, 11p, 중고딕)

    5단계: ㄱ. ㄴ. ㄷ. .................. (4칸에서 시작, 9p, 신명조)

    6단계: (ㄱ) (ㄴ) (ㄷ) .............. (4칸에서 시작, 9p, 신명조)

  • 바. 들여쓰기

    문단의 첫 문장은 3칸에서 시작, 문장과 문장 사이는 1칸으로 하고, 문단과 문단사이는 1줄 띄지 않는다(“참고문헌”의 들여쓰기는 8칸에서 시작함).

  • 사. 용어의 사용

    (1)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, 의미적 혼동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용어가 처음 나왔을 때 ( ) 속에 원어나 한자를 쓴다.

    (2)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관련성 있는 단어를 연속하여 나열하는 경우에는 마지막 단어 바로 앞에 쉼표 없이 “그리고”, “와(과)”, “및”, “혹은” 등을 삽입한다.

2. 인용 사항

  • 본문에 인용문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단어 및 구두점 등의 모든 사항이 인용되는 원 문과 일치되어야 하며, 그 인용부분의 길이에 따라 다음 규정을 지킨다.
  • 가. 인용내용이 짧은(1-2행) 경우 에는 본문 속에 인용부호(“ ”)를 사용하여 기술하며, 인용내용의 끝에 인용출처(저자, 출판년도)를 밝힌다. 한 문장 내에서 내용을 축약하는 경우에는 반 칸을 띄운 후에 세 개의 공간점“…”을 사용한다.
    예: “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…”(홍길동, 2003)

  • 나. 인용내용이 긴(3행 이상) 경우 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. 이 경우에는,인용 부분의 아래와 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띄고 좌우로 각각 3글자씩들여 쓴다. 인용문의 출처는 “저자(출판년도)”를 먼저 밝히고 인용문을 적거나, 인용문 뒤에 “저자(출판년도)”를 표기한다.
    예: 이승환(2005)은 언어병리학이 다학문적 학문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의견을 피력하였다. 특수교육학, 심리학, 컴퓨터공학 등의 전문인들과 협력해야 하고, 나아가 의학의 여러 분야의 전문인들과 팀을 구성해야 할 장애유형도 많다. 그래서 상호 의뢰가 적극적으로 권장되어야 한다.

3. 각주(脚註, footnote) 와 후주(後註, endnote)

  • 가. 각주의 사용은 금한다.

  • 나. 그 대신, 본문에 표시하기 어려운 보충적 내용이나 설명에 한하여 후주의 사용을 허용한다. 후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본문 내 해당되는 곳에 반 괄호를 붙인 어깨숫자로 일련번호를 표시하고, 그 내용은 본문의 가장 뒤, 참고문헌 바로 앞에 기술한다.

4. 본문 내의 인용문헌

  • 가. 직접 인용의 경우: 인용부호(“ ”)를 달고 기술하며, 인용처(저자 및 발행년도)를 표기한다.
    예 1: 김영욱(2003)에 의하면 “...........”
    예 2: 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“...........”(김영욱, 2003)

  • 나. 간접 인용의 경우 : “저자”와 “출판년도”를 아래 예들과 같이 명기하되, 출판년도 표시의 괄호 앞 어절이 한글일 경우에는 괄호를 붙여 쓰고 (단, “참고문 헌” 에서는 반 칸을 띄어 쓴다), 영어인 경우에는 반 칸 띄고 쓴다.
    예 1:이 이론에 대하여 고도흥(2003)은.........
    예 2: 이 이론에 대하여 Pinker(1975)는.........
    예 3: 한 연구(고도흥, 1995)에 의하면..........
    예 4: 최근의 연구(고도흥, 1995; Boone, 1990)에 의하면........

  • 다. 저자가 다수인 경우:

  • (1) 저자가 3인 이상 5인까지일 경우, 최종 저자 앞에 “및” 또는 “와/과”로 표기 한다. 또 같은 문헌이 반복 인용될 때에는 한국인인 제 1저자의 성과 이름 뒤 에 “등/외”를 표기하고, 외국인은 제 1저자의 성 뒤에 et al.을 표기한다.
    예 : 김수진, 윤미선 및 김정미(2002)는... 첫 인용
    김수진 등(2002)은... 반복 인용
    Boone, Hodson & Paden(1995)은... 첫 인용
    Boone et al.(1995)은... 반복인용

    (2) 6인 이상이면 제1저자만 기재하고 “000 외”나 “0000 et al.”등으로 표시한다.

5. 참고문헌 작성법

  • 가. 참고문헌은 논문의 말미에 한, 중, 일, 기타 동양, 서양 문헌 순으로 열거한다.
    서양 문헌작성의 경우 여기에서 규정한 형식 이외의 것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 양식에 따른다.

  • 나. 저자는 저자수와 관계없이 모두 표시한다. 영문 이름의 경우에는 성을 먼저 쓰고, 이름은 첫 글자만(예: Kim, H. K.) 표시한다.

  • 다. 동일한 저자가 같은 해에 낸 다수의 논문을 참고했을 경우에는 출판년도 뒤에 영문 소문자를 써서 구별한다.
    예: 2005a,

  • 라. 단행본(연수회 교재, 발표회 교재 및 검사도구 포함)의 경우:

  • (1) 국문: 저자 또는 편집자(출판년도). 책제목. 출판사 소재지: 출판사.
    예 1: 이승환(2005). 유창성장애. 서울: 시그마프레스.
    예 2: 심현섭, 신문자, 이은주(2004). 파라다이스-유창성검사 (Paradise-Fluency Assessment, P-FA). 서울: 파라다이스복지재단.

    (2) 영문: 저자 또는 편집자(출판년도). 책제목(이탤릭체). 출판사 소재지: 출판사.
    예: Van Riper, C. & Erickson, R. L.(1996). Speech correction: An introduction to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. Needham Heights, MA: A Simon & Schuster Co.

  • 마. 단행본 속의 논문 또는 단원(chapter)의 경우:

    (1) 국문: 저자(출판년도). 논문[단원]명. 편집자[기관]명(편). 단행본명. 발행지: 발행처.
    예: 김영태(2000). 조음음운장애 치료를 위한 임상이론.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(편). 말·언어임상 전문요원교육: 조음음운장애 및 실어증 치료기법의 임상적 적용. 서울: 한학문화.

    (2) 영문: 위와 동일하나 출처인 단행본명을 이탤릭체로 표기
    아래 예와 같이 단행본저자의 이름을 표기하되, 단행본 저자가 1명인 경우에는 “(Ed.)”로, 2명 이상인 경우에는 “(Eds.)”로 표기.
    예: Beeson, P. & Hillis, A.(2001).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written words. In R. Chapey(Ed.), Language intervention strategies inaphasia and related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(4th ed.). Baltimore, MD: Lippincott Williams & Wilkins.

    (3) 단행본이 재판(再版)이상 : 단행본명 뒤의 ( )안에 “3판” 혹은 “3rd ed.” 등으로 표기.

  • 바. 정기간행물(학술지) 속의 논문의 경우:

    (1) 국문: 저자(출판년도). 논문명. 논문수록 학술지명, 권(호) 번호, 페이지.
    예: 장빛나, 김수지(2009). 타악기를 이용한 음악 활동이 유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. 아동교육, 18(3), 213-226.

    (2) 영문: 저자(출판년도). 논문제목. 논문수록 학술지명(이탤릭체),권(호), 페이지.
    예: Kim, S. J.(2010). Music therapy protocol development to enhance swallowing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. Journal of Music Therapy, 57(2), 102-119.

  • 사. 학위논문의 경우

    (1) 국문 : 저자(출판년도). 논문제목. 학위수여대학. 학위명.
    예: 김민정(2004).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.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 병리학 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.

    (2) 영문 : 저자(출판년도). 논문명(이탤릭체). 학위명, 학교명 및 학교소재지.
    단, 석사논문은 “master's thesis”로, 박사논문은 “doctoral dissertation”으로 표기한다.
    예: Sim, H. S.(1996). Kinematic analysis of syllable repetition and sound prolongation in children who stutter.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. University of Iowa, Iowa City.

  • 아. 번역서의 경우

    (1) 원저자명(출판년도). 번역서명[원전의 제목을 알고 있는 경우에 표기]. (역자 명). 번역서의 출판지: 번역서의 출판사명. 예 1: 정옥란(역)(1993). 음성과 음성치료. 대구: 배영출판사.
    예 2: 이승복, 한기선(공역)(2000). 의사소통 과학과 장애: 과학에서 임상실습까지. 서울: 시그마프레스.

  • 자. 연수회, 특강 또는 학술대회 자료의 경우

    (1) 저자명(발표된 년도). 발표제목. 자료명. 발표장소.
    예 1: 윤미선, 이봉원(2005). 한국어 어휘 특성에 따른 단어인식 검사에 대하여.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. 전북대학교, 전주.
    예 2: Pae, S. & Yoon, H. J.(2005). Reading miscue analysis of the Korean second graders.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peech-Language-Hearing Association(ASHA) annual conference. San Diego, CA.

  • 차. 기관이 저자인 경우

    (1) 국문 : 기관명을 저자로 명기(발행년도). 단행본명. 발행도시명: 기관명에 준 하여 “동부”, “동 협회”, “동 학회” 등으로 표기.
    예: 문화관광부(1999). 교과서의 어휘 분석연구 - 초등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. 서울: 동부.

    (2) 영문 : 단행본명을 이탤릭체로 표기. 발행처가 저자와 동일한 경우에는 발행 도시명: 을 적은 후에 “Author”라고 표기.
    예: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(2001).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(5th ed.). Washington, DC: Author.

6. 표, 그림 및 부록

  • 가. 표, 그림 및 부록에는 일련번호를 각각 붙이되, < >를 사용한다. 표와 그림은 본문 안에 삽입하고 부록은 참고문헌 뒤에 삽입한다.
    예: <표 1>, <그림 1>

  • 나. 표 및 부록의 제목은 상단 왼쪽에, 그림의 제목은 하단 중앙에 붙인다.

  • 다. 표, 그림 및 부록을 다른 문헌에서 인용하였을 때, 표와 부록의 경우에는 하단 왼쪽에, 그림의 경우에는 하단 중앙 제목 밑에 출처를 명기한다.

  • 라. 부호를 사용할 때의 글씨체 및 띄어쓰기는 다음과 같다.

    (1) p, F, t는 신명조체의 이탤릭체로 쓴다. 단, M, N, SD는 신명조체의 정자체로 한다.

    (2) 부호 사이는 반 칸 띄어 쓴다(예: p<.001, F(1,129)=2.71, t=4.52).

    (3) *는 윗 첨자의 형태로 통계표 안의 t값과 표 밑의 p값을 제시할 때 쓴다. (예: *t, *p<.05)

  • 마.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표 하단에 반드시 기재하여야 하며,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기재한다. (예: p=.003)

7. 초록

  • 가. 한글 논문의 경우

    (1) 한글초록: 10줄 이내의 한 문단으로 된 한글초록(연구목적, 방법, 결과 등 포함)을 별지에 작성하여 논문 맨 앞에 첨부한다.

    (2) 영문초록: 10줄 내외의 영문초록을 별지에 작성하여 논문 맨 뒤에 첨부한다.

    (3) 핵심어: 3-5개의 핵심어를 한글초록과 영문초록 밑에 쓴다.

  • 나. 영문 논문의 경우

    (1) 영문초록: 10줄 이내의 한 문단으로 된 영문초록(연구목적, 방법, 결과 등 포함)을 별지에 작성하여 논문 맨 앞에 첨부한다.

    (2) 한글초록: 1쪽 이내의 한글초록(한글제목, 한글이름, 한글소속 포함)을 별지에 작성하여 논문 맨 뒤에 첨부한다.

    (3) Key Words: 3-5개의 핵심어를 영문초록과 한글초록 밑에 쓴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