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브 비주얼
게시판영역
치료사를 위한 철학특강 고대철학편 (온라인)
페이지 정보
작성자 손창선 작성일 20-09-29 10:46 조회 3,207회 댓글 0건본문
한국모레노연구원에서는 철학사를 바탕으로 각 철학의 현대 심리학적 의미를 전달하여, 심리치료 및 심리상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철학 특강을 매월 진행합니다.
[ 제1편 고대철학 ]
고대철학은 여러 철학적 개념들의 뿌리이자 심리학적 개념들의 뿌리이기도 합니다. 치료사를 위한 철학특강 제1편은 고대철학에 숨어있는 심리학적 의미를 탐사하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.
고대철학은 여러 철학적 개념들의 뿌리이자 심리학적 개념들의 뿌리이기도 합니다. 치료사를 위한 철학특강 제1편은 고대철학에 숨어있는 심리학적 의미를 탐사하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입니다.
1. 일시 : 2020년 9월~2021년 1월 매월 둘째주 토요일 오전 9시반~11시반 (총4회)
2. 내용 : 고대철학, 심리학적 개념들의 뿌리를 찾아서
2) 11월14일(토) : 플라톤
3) 12월12일(토) : 아리스토텔레스
4) 1월 9일(토) : 고대 대가의 후예들
3. 참가방법
: zoom 회의방으로 초대 (참가 경로는 신청자에게 당일에 개별 공지)
4. 참가신청
- 신청방법 : 문자(031-441-4235, 50자 내)로 신청 (예: 철학특강, 홍길동)
: zoom 회의방으로 초대 (참가 경로는 신청자에게 당일에 개별 공지)
4. 참가신청
- 신청방법 : 문자(031-441-4235, 50자 내)로 신청 (예: 철학특강, 홍길동)
- 참가비 : 4회 총 4만원 (회기별 신청시 회기당 1만2천원) (입금계좌 : 국민은행 280601-04-027668, 예금주 : 손창선)
** 참가비를 입금하셔야 신청완료되며, 참가신청 취소는 신청기간 내에만 가능합니다.
** 참가비를 입금하셔야 신청완료되며, 참가신청 취소는 신청기간 내에만 가능합니다.
** 신청 기간 내에 신청자 5명 미만시 강의가 취소됩니다.
5. 강사 : 손창선 박사 (한국모레노연구원장)
- 동국대 서양철학 박사 졸업,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 석사 졸업.
- 역서 : 모레노의『사이코드라마 제1권』(2019), 『사이코드라마 제2권』(2015) 공역
- 논문 및 연구 :「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 치료의 철학적 토대의 재구성 -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-」(박사학위논문, 2019)
5. 강사 : 손창선 박사 (한국모레노연구원장)
- 동국대 서양철학 박사 졸업, 명지대 예술심리치료학 석사 졸업.
- 역서 : 모레노의『사이코드라마 제1권』(2019), 『사이코드라마 제2권』(2015) 공역
- 논문 및 연구 :「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 치료의 철학적 토대의 재구성 -들뢰즈의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-」(박사학위논문, 2019)
「모레노의 소시오메트리를 통한 공동체 치료의 원리와 방법」(2020),
「문화치료로서의 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」(2019),
「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의 위상 -국내 사이코드라마의 위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」(2018),
「모레노의 원저를 근거로 한 사이코드라마의 이해」(2017),
「키르케고르의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불안과 사이코드라마의 우주적 불안」(2016),
「가다머의 놀이의 존재론과 놀이로서의 사이코드라마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」(2014),
「셸링의 동일성의 철학과 융 분석심리학의 유사성 및 셸링 철학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」(2014)
「자발성의 철학사」(2014)
「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삶과 도전 -들뢰즈의 "감각의 논리"를 중심으로-」(2012)
「시인과 사이코드라마 -시인 김수영을 중심으로-」(2012)
「통과의례의 예술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」(석사학위논문, 2007) 등.
6. 문의
- 한국모레노연구원 031-441-4235
"치료사의 길은 끝없는 인간 탐구의 길입니다.
심리학의 역사는 100년이지만 철학의 역사는 2,500년에 이르며 심리학 역시 철학에서 비롯되었으므로,
당신이 이 길을 계속 가기 위해서는 철학이라는 등불이 꼭 필요할 것입니다."
「문화치료로서의 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」(2019),
「모레노의 사이코드라마의 위상 -국내 사이코드라마의 위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-」(2018),
「모레노의 원저를 근거로 한 사이코드라마의 이해」(2017),
「키르케고르의 자유의 가능성으로서의 불안과 사이코드라마의 우주적 불안」(2016),
「가다머의 놀이의 존재론과 놀이로서의 사이코드라마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」(2014),
「셸링의 동일성의 철학과 융 분석심리학의 유사성 및 셸링 철학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」(2014)
「자발성의 철학사」(2014)
「화가 프랜시스 베이컨의 삶과 도전 -들뢰즈의 "감각의 논리"를 중심으로-」(2012)
「시인과 사이코드라마 -시인 김수영을 중심으로-」(2012)
「통과의례의 예술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」(석사학위논문, 2007) 등.
6. 문의
- 한국모레노연구원 031-441-4235
"치료사의 길은 끝없는 인간 탐구의 길입니다.
심리학의 역사는 100년이지만 철학의 역사는 2,500년에 이르며 심리학 역시 철학에서 비롯되었으므로,
당신이 이 길을 계속 가기 위해서는 철학이라는 등불이 꼭 필요할 것입니다."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